종종사는 사리탑이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현재 대웅전 옆 공간에 조선시대에 건립된 수종사 팔각5층석탑을 비롯한 2기의 석탑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사리탑은 일반적인 사리탑과 같이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로 구성되어 결실된 부재가 없는 상태에서 건립 당시의 모습을 비교적 완전하게 유지하고 있지만 원래는 지금의 위치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사리탑의 기단부는 지대석과 하대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지대석은 복수개의 판석형 석재를 사용하여 평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현재, 일부가 파손된 상태이지만, 상당히 수법으로 보고, 원래 4장의 돌로 구성되어 있던 것으로 보인다.
지대석의 면석부에는 운위문(구름모양)을 눈에 띄게 조각하고 원래부터 노출되도록 의도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지대석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이 있었다고 추정되고, 그 형태는 지대석과 마찬가지로 사각형이었다고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지대석은 매몰시켜 마련해, 위에 놓이는 대석을 매우 두껍게 마련해 측면면석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노출되는 지대석 측면에는 운문양이나 꽃무늬 등을 표현해 지대석이 단순히 상부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장식을 통해서 상징적 구조물로서 의미를 특히 조선시대에 조영된 궁정과 왕릉석조물 등 왕실과 관련된 석조물에서 많이 적용된 것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한다. 하대석은 팔각형으로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단석은 석불대좌나 석탑의 하층기단처럼 상하에 단을 치석했지만, 상부는 갑석처럼 경사져 조성되어 면석부 공간에는 상하대칭 연화문을 장식했다. 이처럼 갑석형 받침대와 연접해 연화문을 작게 표현하는 것은 고려 말에 조선 초기에 조성된 왕릉의 석조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수법이다. 특히 조선시대 왕릉의 장명 등과 만주석 등 기단부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다. 상단석은 평면 팔각형으로 면석부의 각면을 사각형으로 구획했지만, 다시 중앙에 가로대를 조각하여 상하 2단으로 나누어 하부가 상부보다 약간 높아 안정감을 부여하고 있다. 구획된 상하면에는 인동당 초문 또는 초화문을 장식했지만 조금씩 변화를 보여 장식성을 더하고 있다. 이런 문양도 조선시대에 조성된 궁정과 왕릉의 석조물에 자주 사용된 것으로 요시가미와 공양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단석의 상면에는 외곽부에 좁은 받침대를 놓고 그 안쪽에 평평하게 치석하여 탑신석을 지지하고 있다. 종종사 사리탑의 기단부 구성은 15세기 전반에 세종대에 조성된 함정당(33). 정사각형으로 구성한 것에 비해 사각형과 팔각형이 섞인 형태를 하고 있어, 아마 이 시기의 유행이거나, 이 탑을 조성한 조각장인 집단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
탑신부는 원형의 탑신석과 팔각의 지붕석을 갖추고 있다.
톱신석은 상하부 직경이 거의 같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표면에는 은기문과 영문을 가득 표현했다. 즉 하단과 상단에 구름기문을 새겨, 그 사이에 2마리의 용을 부각했지만 화염 보주를 향해 얼굴을 향하고 있는 모임입니다. 입에 서는 서기를 내뿜고 있으며, 오른쪽 용은 몸을 위쪽으로 접고, 왼쪽 용은 몸을 뒤로 뻗어 구부러지는 모습으로 표현했다. 이처럼 탑신석에 용을 조각하는 것은 조선시대에 들어가 왕실과 관련된 깊은 석조물로 표현됐다.
대표적으로는 조선 초기에 태조리성계의 스승이었던 양주회암사에 있는 무도대사의 홍융탑과 광해군대에 조성된 봉인사 사토탑 등이 있다. 양주회암사무학대사 살리탑 기단부에 보이는 용의 표현과 매우 비슷하지만 몸의 굴곡이나 비늘의 표현 손톱의 표현 등으로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비슷한 시기에 건립되거나 서로 영향을 받거나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서 봉인사 사리탑은 현재 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들어가 있어 직접 볼 수 없는 것이 유감이다. 중앙 박물관이나 노천 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는 다른 석조 유물처럼 봉인사 사리탑도 수장고에서 나와 전시가 되고 싶다. 상륜부의 지붕석은, 하부에는 탑신석의 상부 받침대와 결찰하는 곳에 별도의 팔각형 받침대를 만들어 내고, 옥개석과 탑신석이 안정적으로 빠져나가게 하고, 처마를 살짝 들어 올린 형태이지만, 합각부의 모퉁이에는 목조 건축의 추녀와 같은 벌레를
추녀와 추녀 사이는 가볍게 아래로 처진 형태로 치석해 매달아 곡선을 이루고 있다.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비석의 상면 합각부에는 반원형의 부각을 굵게 돌출시켜 목조 건축의 바닥부를 표현했지만, 비석은 기단부나 탑신부 등 다른 부재와 비교하면 비교적 간단한 치석 수법을 보이고 있다. 또 처마면을 꽤 두껍게 마련해 전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을 주고 있지만, 명문을 새기기 위해 계획적으로 의도되었는지는 모른다. 지붕석의 상면에 원형의 화문형 대석을 마련해, 노반과 같이 받침대를 마련해 상륜부를 올렸지만, 모두 원형으로 치석이 되어 있다. 상륜부는 복명과 보석이 각각 1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보주석은 아래에 1단의 연주 문대를 돌려 연화문이 장식된 보석대를 마련한 뒤 원구형 보석을 치석했다. 이상과 같이, 수종사 사리탑은 기단부의 세부 치석 수법과 문양의 표현 기법, 탑 신부의 구성과 표현, 상륜부의 간략화된 결구 수법 등으로 조선 초기의 양식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형태와 구성은 조선 초기에 건립된 양주회 이와사 무타대사 홍윤탑 등 석조무도들과 친연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사리탑에 표현된 다양한 문양은 조선시대에 건립된 궁전의 월대, 답로 등에 표현된 문양이나 왕릉으로 조성된 장명 등 요주석, 병풍석 등에 조각된 문양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수종사 사리탑은 그 양식과 치석 수법으로 조선 초기에 건립된 것을 보여준다. 종교사리탑의 건립연대와 조성의 배경을 알 수 있는 명문이 자갈탑의 지붕석 요새에 새겨져 있다.
사진에는 명문이 잘 보이지 않지만, 탁본을 하면 그 명문을 볼 수 있다.
불가능하며 불탑(불탑)은 부처 사원을 모은 조형물을 의미하고, 찬리탑은 부처와 승려를 비롯하여 불교와 관련된 인물의 모래를 모은 모든 조형물을 의미한다. 그래서 불탑은 샐리를 봉안하는 기능적인 측면도 있지만, 신성한 예배의 대상으로서의 의미가 강하다.
재가신자 살리칩이란?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독도서관 식당 - 존독 도서관 주차장 어린이 열람실 (0) | 2025.05.11 |
---|---|
사성암약수 - 곡성포성강에서 완도구 등 몽돌비치까지.. (0) | 2025.05.11 |
일본 오사카 관광지도 - 일본 오사카 볼거리 오사카 성 일루미네이션 주유 패스 (0) | 2025.05.10 |
그랜드하얏트 서울 카페 -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 | 카페 갤러리, 룸서비스, 조식, 기념일 보너스, 산책 (0) | 2025.05.10 |
속리산 세조길 단풍 - 소크리 산 단풍 피크 솔리산 국립 공원 (0) | 2025.05.10 |